6. 변동수수료 접근법
Variable Fee Approach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Variable Fee Approach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변동수수료접근법(Variable Fee Approach)은 계약이 기초항목의 공정가치에서 서비스에 대한 변동 가능한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할 의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간주하여 보험계약을 측정함. 여기에서 변동수수료는 보험 보장 뿐만 아니라 자산 관리 서비스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회사가 받는 대가를 나타내며 보험자가 해당 계약에서 얻는 주요 수익임.
변동수수료접근법은 일반모형이 적용되는 보험계약 중 기준서에서 제시하는 직접 참가 특성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계약에 대해 적용하는 측정방법으로 일반모형과 달리 후속측정 시 추가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회계처리를 수행함. 변동수수료접근법을 적용한 보험계약 측정은 프로세스는 다음의 그림과 같음.
계약관리 : 직접 참가 특성 판단 및 적용 보험계약의 통합수준 정의
최초측정 : 기준서에서 제시한 항목을 이용한 최초인식시점의 부채 장부금액 측정
후속측정 및 변동금액 구분 : 기준서에서 제시한 차·가감 항목을 이용한 기말 보험부채 장부금액 측정과 그에 따른 변동금액 구분 인식